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가 60만대로 돌입했다.
전기차 충전기 누적 보급 대수도 36만대를 넘어섰다.
전기차 1.6대 정도가 충전기 1대를 나눠쓰는 셈이다.
1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국토교통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누적 대수는 60만6,610대로 집계됐다.
전기차 통계가 공식적으로 잡히기 시작한 2017년 이후 7년 만에 60만대를 넘어선 것.
지난 2017년 당시 전기차 등록 대수는 2만5,108대로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24배가량 성장했다.
지난 해 12월까지 54만3,900대 등록된 전기차는 6개월 만에 6만2,710대가 추가 등록됐다.
2019년까지는 전기차 등록 대수가 소폭으로 늘다가 2020년 13만4,962대로 처음 10만대를 넘겼다.
그 후 매년 10만대 이상의 성장세를 보였다.
브랜드별 전기차 등록 현황을 보자.
현대차가 39.8%(24만1,691대), 기아가 27.4%(16만6,274대)로 현대차의 뒤를 이었다.
현대차·기아 합산 비중은 67.2%다.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3대 중 2대가량은 두 회사가 제조했다는 얘기다.
다음으로 테슬라 13.3%(8만942대), BMW 3.3%(1만9,868대), 메르세데스-벤츠 3.1%(1만8,775대), 한국GM 2.6%(1만6,030대), 르노코리아 1.7%(1만588대) 등의 순이다.
충전기 보급 대수도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해까지 충전기 누적 보급 대수는 30만5,309대였다.
처음 30만대를 돌파한 뒤 올해 5월에는 누적 36만1,163대로 증가했다.
완속 충전기는 31만9,456대, 급속은 4만1,707대 각각 설치됐다.
지난 해 5월 누적 충전기 대수(24만695대)와 비교하면 50.1% 증가한 수치다.
충전 시설이 계속 보강되면서 충전기 1대당 전기차 대수를 의미하는 ‘차충비’는 갈수록 낮아졌다.
전기차 등록 대수가 2만5,000대였던 2017년을 제외하고 2018년부터 충전기 1대당 전기차 2대 정도의 수치를 보이다가 2022년 1.90대에 이어 지난 해 1.78대를 기록했다.
올해 5월 기준으로는 1.64대까지 내려갔다.
평균적으로 전기차 1대를 완속 충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9.8시간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충전 유형별로 설치 동기와 그 용이성을 감안해 충전기 구축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주거지와 근무지 중심의 기초 충전 인프라 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가격구분 | 당일 가격 | 전일 대비 | 전주대비 |
---|---|---|---|
휘발유 판매가격 | 1,634.54 | 1.04 | |
경유 판매가격 | 1,501.47 | 0.94 | |
등유 판매가격 | 1,311.16 | -0.45 |
가격구분 | 당일 가격 | 전일 대비 | 전주대비 |
---|---|---|---|
두바이유 | 66.85 | -0.38 | -1.56 |
WTI | 62.05 | -0.97 | -1.03 |
브렌트유 | 65.86 | -1.01 | -0.40 |
국제 휘발유 | 76.28 | -0.37 | 0.73 |
국제 경유 | 82.56 | -0.07 | 0.66 |
국제 등유 | 81.79 | -0.21 | 1.08 |